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3

투자 기업의 안정성 분석 기업을 평가할 때 우선 고려할 것은 수익성과 성장성이다. 그것은 기업의 목적이 수익을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기업이 그러한 목적을 잘 수행하고 있는지 먼저 확인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윤을 잘 만들고 성장하는 기업은 주주에게 많은 수익률을 만들어 준다. 그러나 아무리 수익성이 높고 성장성이 좋아도 기업이 재무적으로 안정적 이이 않아 부채나 이자비용을 감당 못하면 부도가 날 수도 있다. 적절한 부채를 이용하는 것은 레버리지효과로 인해 기업 성장에 도움을 준다. 하지만 지나친 부채 이용은 기업에 악영향이 있을 수 있기에 어느 정도 활용하는지, 또 부채를 감당 가능한지에 대한 분석이 중요하다.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현금이 있어야 한다. 기업이 유동성을 확보 중인지 확인하고 부채 규모를 감당할.. 2023. 5. 19.
투자를 위한 성장성 분석 수익성과 함께 강한 경쟁력을 가진 회사의 특징은 장기적인 성장성이다. 회사의 수익성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더라도 성장하지 않는 회사는 주가 오름폭의 제한을 받게 된다. 높은 시장 지배력을 가진 기업은 가격을 결정하거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성장으로 지속한다. 성장률은 전년 대비, 전년 동기 대비, 전 분기 대비, 전월 대비 등 기준 시점에 따라 여러 방법으로 계산 가능하다. 그러나 산업 또는 기업별로 매출액과 이익 변화 정도가 다르므로 특성을 고려해 성장을 판단해야 한다. 또한 기업에 따라 일시적인 손익 항목으로 인해 매출액과 수익이 달라지기 때문에 단기간의 성장률만을 참고하여 해당 기업의 성장성을 판단해서는 안 된다. 매출액성장률 매출액이 늘고 있으면 사업이 성장해 가고 있다는 뜻이다. 반면 매출액이 감.. 2023. 5. 18.
투자 결정을 위한 수익성 분석 기업이 사업을 하는 이유는 이익을 남겨 주주에게 그 몫을 나누는 것이다. 기업을 분석할 때 가장 먼저 기업이 수익 창출을 잘 하고 있는지를 살펴야 하는데 이와 관련된 지표가 바로 수익성 지표이다. 수익성 지표에는 매출액 대비 얼마나 수익을 남겼는지를 확인하는 비율과 투여된 자원 대비 이익의 규모가 얼마인지 확인 가능한 자본이익률이 있다. 매출액이익률에는 매출 총이익률, 영업이익률, 그리고 순이익률이 있다. 자본이익률에는 자기자본이익률과 투하자본이익률이 있다. 경쟁력 있는 기업들은 높은 수익성을 유지한다는 특징이 있다. 수익성을 분석할 때는 현재의 수익성보다는 장기적인 추세를 보는 것이 중요하다. 산업마다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업종 평균과 경쟁기업의 수익성을 함께 비교해 어느 정도인지 살펴야 한다. 여러 .. 2023. 5. 17.
수익성 평가를 위한 재무비율 분석 재무비율 분석은 재무제표상 관련 항목들을 대응시켜 비율을 계산하고 계산된 비율을 통해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하거나 재무 위험의 정도를 평가하는 분석방법이다. 비율 분석에서는 절대적인 기준이 없다. 비교하여 해석할 수 있는 기준이 있어야 한다. 1. 한 기업의 여러 해에 걸친 비율을 비교한다. 2. 당해 기업의 비율을 산업 내 다른 기업이나 경쟁기업과 비교한다. 3. 몇 가지 절대 기준과 비교할 수 있다. 추세 분석에 있어서는 기업 특성이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여러 기간에 걸친 기업 전략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산업 내 동종기업 간 비교는 산업 요인이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당해 산업에서 한 기업의 상대적 성과를 쉽게 검토할 수 있다. 대부분의 비율에는 절대적 기준이 없다. 예외가 있다면 이는 수익률 측정치인.. 2023. 5. 16.
기업수명주기와 현금흐름 기업의 수명주기는 크게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로 구분할 수 있다. 도입기 기업이 시장에 처음으로 나서는 시기이다. 시장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으로 대규모 설비투자가 이뤄지고 이를 위해서 자금이 필요하게 되는 단계이다. 도입기에는 매출이 잘 이뤄지지 않고 비용은 많이 소요되어 수익이 나지 않는다. 반면에 은행에서 돈을 대출을 일으키거나 유가증권을 발행하는 등 자금으로 확보하게 되고 그 현금으로 시설투자 등을 하게 된다. 또한 매출이 잘 이뤄지지 않기에 현금이 별로 들어오지 않고 나가기만 하는 상황이 된다. 따라서 영업활동 현금흐름과 투자활동 현금흐름은 마이너스(-)가 되고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플러스(+)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성장기 판매량이 늘어나고 적자였던 이익이 흑자로 돌아서면서 증가하는 .. 2023. 5. 15.
주식분할과 주식병합 한 기업이 기존의 모든 발행주식을 2주 이상으로 나누는 것을 주식분할이라고 한다. 주식병합은 아주 드물게 일어나지만 1대 2 혹은 1대 3과 같은 병합으로 주식분할과 반대이다. 주식분할 10대 1 주식분할을 하면 모든 주주는 1주 대신 10주를 갖게 된다. 발행주식이 100만 주면 열 배인 1,000만 주로 주식수가 증가하는 것이다. 주가는 분할에 따라 1/10로 줄어든다. 주식분할은 똑같은 크기의 파이를 더 작은 조각으로 나누는 것이다. 주식분할 이후에도 투자자가 보유한 회사의 지분이나 의결권에 어떤 변화가 없기에 형식적인 것에 불과하다. 무상증자를 한 경우와 같다. 주식분할을 할 때 경영진이 내세우는 주식분할 사유는 주식의 유동성을 높이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이유가 어찌 되었든 주.. 2023. 5.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