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공부

투자를 위한 성장성 분석

by 까칠아빠 2023. 5. 18.
반응형

수익성과 함께 강한 경쟁력을 가진 회사의 특징은 장기적인 성장성이다. 회사의 수익성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더라도 성장하지 않는 회사는 주가 오름폭의 제한을 받게 된다. 높은 시장 지배력을 가진 기업은 가격을 결정하거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성장으로 지속한다.

성장률은 전년 대비, 전년 동기 대비, 전 분기 대비, 전월 대비 등 기준 시점에 따라 여러 방법으로 계산 가능하다. 그러나 산업 또는 기업별로 매출액과 이익 변화 정도가 다르므로 특성을 고려해 성장을 판단해야 한다.

또한 기업에 따라 일시적인 손익 항목으로 인해 매출액과 수익이 달라지기 때문에 단기간의 성장률만을 참고하여 해당 기업의 성장성을 판단해서는 안 된다.

 

매출액성장률

매출액이 늘고 있으면 사업이 성장해 가고 있다는 뜻이다. 반면 매출액이 감소한다면 위험할 만한 요소이다. 매출액 성장률은 기말 매출액이 기초 매출액에 비해 얼마나 증가했는지 보여주는 지표이다. 매출액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한 총액이다.

  매출액 성장률 = (기말 매출액 - 기초 매출액) / 기초 매출액 * 100

매출액은 제품의 가격과 수량에 따라 결정되는데 매출액이 늘거나 줄어들 경우 가격과 수량 중 어떤 요소가 달라졌는지 살펴야 한다. 가격의 변화는 원재료의 가격 변동이나 기업의 가격결정력에 영향을 받는다.

매출액의 성장은 영업이익, 순이익의 증가를 동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실속 없는 성장을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기업이 실제 얼마만큼 수익을 올렸는지를 살펴야 한다.

 

순이익성장률

순이익 성장률은 기초 순이익에 비해 기말 순이익이 얼마나 빠르게 늘어났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이다. 순이익은 매출액에서 모든 비용을 차감하고 최종적으로 남는 이익으로 주주의 이익이기도 하다.

  순이익 성장률 = (기말 순이익 - 기초 순이익) / 기초 순이익 * 100

순이익 성장률은 주가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주가는 기업이 얼마나 많은 수익을 냈느냐에 따라 변동한다. 순이익 성장률은 투자자의 수익률로도 해석하는데 투자수익률을 결정하는 주가는 순이익의 증가만큼 상승하기 때문이다.

이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인 순이익 성장률만을 살피는 것보다 향후 수년간의 순이익 성장률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좋다. 경기변동이나 산업의 변동성에 따라 순이익이 단기적으로 달라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단기적인 순이익만을 보고 투자수익률을 예측한다면 섣부른 투자판단을 내릴 가능성이 많다. 워런 버핏은 이익이 지속적이지 못한 기업을 싫어한다. 지속적인 주당 순이익의 상승을 보이는 회사를 고려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