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3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 무상감자와 유상감자 회사설립 이후 주식을 발행하는 것을 증자라고 한다. 증자 시 주주로부터 주식의 발행가액에 해당하는 돈을 받고 증자하는 것을 유상증자, 돈을 받지 않고 자본잉여금이나 이익잉여금으로 대체하는 것을 무상증자라 한다. 무상증자 무상증자는 자본의 구성내용을 변경하는 것으로 자본잉여금이나 이익잉여금이 단지 자본금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자본의 크기에는 변동이 없고 주주지분에도 변동이 없다. 다만, 발행주식수가 늘어나 시장에 유통되는 주식수가 늘어나고 주당순이익이 감소하게 된다. 무상증자와 유사한 것은 주식배당이다. 주식배당도 이익잉여금을 재원으로 하여 주식을 발행하기 때문에 발행주식수가 증가하지만 이익잉여금이 자본금으로 변경되는 것이므로 총자본은 변화가 없다. 다만, 주식배당은 무상증자와 달리 배당에 따른 배당소득세를.. 2023. 5. 13. 이익잉여금의 이해 당해연도에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이익이 생기면 당기순이익이라고 한다. 손이익을 배당하지 않고 모아둔 것을 이익잉여금이라 한다. 자본잠식 기업이 매년 벌어들인 순이익 모두를 배당하지 않으면 이익잉여금은 증가한다. 하지만 기업이 영업을 하지 못해 손실을 내면 그만큼 이익잉여금이 줄어들게 된다. 손실이 누적되어 이익잉여금을 초과하기 시작하면 그 초과액을 이월결손금이라고 한다. 이것은 결국 자본을 잠식하게 되는데 이를 자본잠식이라 한다. 최악의 경우 자본총액이 마이너스(-)로 진행되면 완전자본잠식이 된다. 자본잠식이 50% 이상이면 관리종목에 편입되어 투자유의대상이 되며 2년 연속 자본잠식상태가 유지되거나 완전자본잠식이 되면 상장폐지가 된다. 때문에 기업은 퇴출을 피하기 위해 감자를 하는 경우가 많다. 감자를.. 2023. 5. 12. 기업의 경영활동 상기업은 다른 기업이 생산한 제품을 판매하고 서비스 기업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제품생산활동은 없게 된다.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자금순환과정을 활동영역별로 나누면 크게 재무활동, 투자활동, 영업활동으로 나눌 수 있다. 재무활동 사업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자금이 필요하다. 이 자금으로 기업은 사업에 필요한 자원을 얻는 것이다. 소유주가 기업에 불입한 자금은 소유주 지분 또는 자본이라고 한다. 이 불입액은 기업에 자원을 제공한 소유주의 청구권을 의미한다. 소유주는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과 기업이 소유한 자원에 대한 청구권을 가지게 된다. 사업을 시작할 때 추가적으로 자금이 필요하게 되면 자금을 차입하게 된다. 차입금은 기업의 또 다른 자금원이며 이것은 돈을 빌려준 채권자의 청구권을 나타낸다. 기업활동.. 2023. 5. 11. 회계정보의 유용성 오늘날 회계는 회계정보이용자들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제공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국제 회계기준에서는 다음 두 가지를 재무제표의 목적으로 들고 있다. 경제적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제공 회계는 정보이용자들이 희소한 경제적 자원의 배분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을 주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어떤 사람이 주식에 투자할 때 주식시장에 있는 기업 중 어느 기업에 투자하는지 결정하기는 쉽지 않다. 만약 투자자가 기업의 회계보고서를 보고 해당 회사의 건전상 또는 부실을 구분할 수 있다면 좀 더 합리적으로 투자의사결정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기업이 은행에서 자금을 차입하려 대출신청을 했을 때 은행은 해당 기업이 향후 이자와 원금 상환 능력이 있는지 판단해야 하는데 이때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확인할 회계정보.. 2023. 5. 10. 기업의 이해관계자와 회계정보 기업의 이해관계자는 기업에 자원을 투자하고 기업이 가치를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고 대가를 기대하는 사람들이다. 이들 이해관계자들의 정보요구를 해결하는 회계정보의 역할을 알아보도록 한다. 투자자와 회계정보 기업의 외부 이해관계자 중에 대표적인 정보이용자는 투자자와 채권자이다. 투자자들은 자신의 자금을 불릴 투자대상의 하나로 기업의 주식에 투자한다. 주식투자에서 기대할 수 있는 미래의 투자수익은 기업의 배당과 주가 상승에 따른 시세차익이 있다. 그런데 미래의 투자수익이 얼마나 많을 것인가는 투자대상기업의 향후 수익성에 달려있다. 기업의 미래 수익성이 높으면 배당이 늘어나고 주가도 상승하여 투자수익이 높아지나 아니라면 투자수익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투자자들은 투자대상기업의 미래 수익성을 살피기 위해 당.. 2023. 5. 9. 재무보고와 회계 '오마하의 현인', ' 전설적 주식투자의 대가'로 불리는 워렌 버핏은 재무제표를 보지 않을 거라면 주식 투자를 그만두라고 하였다. 왜 이토록 재무제표의 중요성을 역설하는지 알기 위해 회계정보의 본질과 재무제표의 역할을 알아야 한다. 재무보고 재무보고는 경영자가 회사 외부의 모든 이해당사자들에게 기업실패의 경제적 자원과 의무, 성과, 현금흐름, 자본변동 등 다양한 재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장기업은 정기적 재무보고가 의무이다. 3개월마다 분기보고서, 6개월마다 반기보고서, 연간 1회 연차보고서를 공시하여야 한다. 재무보고서의 내용 주된 내용은 회사의 재무에 관한 여러 정보를 보여주는 재무제표로 구성된다. 재무제표는 일정기간 기업의 성과를 보여주는 손익계산서, 현재 기업의 자원과 그 자원에 대한 청구권.. 2023. 5. 8.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