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하의 현인', ' 전설적 주식투자의 대가'로 불리는 워렌 버핏은 재무제표를 보지 않을 거라면 주식 투자를 그만두라고 하였다. 왜 이토록 재무제표의 중요성을 역설하는지 알기 위해 회계정보의 본질과 재무제표의 역할을 알아야 한다.
재무보고
재무보고는 경영자가 회사 외부의 모든 이해당사자들에게 기업실패의 경제적 자원과 의무, 성과, 현금흐름, 자본변동 등 다양한 재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장기업은 정기적 재무보고가 의무이다. 3개월마다 분기보고서, 6개월마다 반기보고서, 연간 1회 연차보고서를 공시하여야 한다.
재무보고서의 내용
주된 내용은 회사의 재무에 관한 여러 정보를 보여주는 재무제표로 구성된다. 재무제표는 일정기간 기업의 성과를 보여주는 손익계산서, 현재 기업의 자원과 그 자원에 대한 청구권을 보여주는 재무상태표, 현금을 발생처와 사용처를 보여주는 현금흐름표 등이다.
기업이 보유한 자원과 그 자원에 대한 청구권과 변동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기 때문에 재무보고는 곧 재무제표이다. 재무제표는 재무보고의 핵심수단으로 회계시스템의 최종 결과물이다.
회계의 내용
회계는 한 경제주체가 경영활동에 있어서 그 내용이 좋았는지, 현재 재무상태는 어떠한지를 요약하여 보여주는 과정이다. 이익이 나면 성과가 좋은 것이며 부채가 지나치게 많이 않다면 재무상태가 나쁘지 않다.
요약한다는 것은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만든다는 의미이며 과정이란 수많은 경제적 사건을 식별하고 측정하여 보고하는 과정을 말하는 것이다.
이런 회계과정에 의하여 한 경제주체인 기업의 과거 활동결과와 현재 건강상태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게 작성된 보고서가 재무제표이다.
이 재무제표는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이해관계가 의사결정을 잘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회계는 정보제공기능을 가지고 있다.
작성의 비용
기업이 회계정보로서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데 많은 비용이 들어간다. 즉, 기업의 재무적 사건을 체계적을 기록하고 보고서를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스템운영비, 인쇄비, 감사수수료 등의 비용들이다.
이처럼 기업은 적지 않은 비용을 들여 재무제표를 만들지만 정작 재무제표를 활용하는 사람들은 투자자나 채권자 등 기업 외부의 정보이용자들이다.
기업의 경영자들은 재무제표를 작성하고 공시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데도 불구하고 왜 이를 만들려고 하고 만들어야만 하는 것일까? 이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회계의 수탁기능과 보고책임에 대한 이해를 해야 한다.
'투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정보의 유용성 (0) | 2023.05.10 |
---|---|
기업의 이해관계자와 회계정보 (0) | 2023.05.09 |
재무제표의 10루타 주식 (0) | 2023.05.07 |
가장 중요한 개념은 안전마진 (0) | 2023.05.06 |
주주와 경영진 : 배당 정책 (0) | 2023.05.05 |
댓글